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클라우드란

by 모잡사4 2025. 8. 1.
반응형

클라우드란

 

클라우드, 과연 무엇일까요? ☁️

요즘 "클라우드"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듣습니다. 사진을 클라우드에 저장하고, 업무 자료를 클라우드에서 공유하고, 심지어 게임도 클라우드로 즐기죠. 그런데 막상 클라우드가 정확히 무엇인지 설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. 오늘은 클라우드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!

반응형

클라우드, 왜 '클라우드'일까요?

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컴퓨팅 자원(서버, 스토리지, 데이터베이스, 네트워크, 소프트웨어 등)을 의미합니다. 마치 구름(Cloud)처럼 형태가 명확하지 않고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지만, 언제든지 필요한 만큼 끌어다 쓸 수 있기 때문에 '클라우드'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. 내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거나 소유하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.


클라우드, 왜 필요할까요? 핵심 장점!

클라우드가 대세가 된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. 어떤 장점들이 있을까요?

  • 비용 절감: 비싼 서버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구매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.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라 초기 투자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  • 유연성 및 확장성: 갑자기 많은 사용자가 몰리거나 데이터가 늘어나도 걱정 없습니다. 필요한 만큼 즉시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비즈니스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접근성: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데이터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사무실이든, 집이든, 심지어 해외에서도 작업이 가능하죠.
  • 보안 및 안정성: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는 전문적인 보안 팀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개인이나 기업이 독자적으로 갖추기 힘든 높은 수준의 보안 및 안정성을 제공합니다.
  • 관리의 용이성: 서버 유지보수, 업데이트, 백업 등 복잡한 IT 관리를 직접 하지 않아도 됩니다.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대부분을 알아서 처리해줍니다.

클라우드의 종류: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

클라우드 서비스는 제공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  •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: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 기본적인 IT 인프라를 빌려 쓰는 형태입니다. 예를 들어, 아마존 웹 서비스(AWS)의 EC2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(Azure)의 가상 머신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. 직접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.
  • PaaS (Platform as a Service):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(운영체제, 프로그래밍 언어 실행 환경, 데이터베이스 등)을 제공합니다. 개발자는 인프라 관리에 신경 쓸 필요 없이 코드 작성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. 구글 앱 엔진(Google App Engine) 등이 대표적입니다.
  • SaaS (Software as a Service): 이미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것입니다.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Gmail, Dropbox, Microsoft 365(Office 365), Salesforce 등이 모두 SaaS에 해당합니다. 가장 대중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입니다.

우리 삶 속의 클라우드 예시

클라우드는 생각보다 우리 가까이에 있습니다.

  • 네이버 MYBOX, 구글 드라이브, 드롭박스: 사진이나 문서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개인용 클라우드 스토리지입니다.
  • 넷플릭스, 유튜브: 방대한 영상 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도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서 동작합니다.
  • 온라인 게임: 대규모 동시 접속자가 발생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도 대부분 클라우드를 활용합니다.
  • 카카오톡, 페이스북, 인스타그램: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수많은 SNS 서비스 역시 클라우드 없이는 불가능합니다.

이제 클라우드가 무엇인지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되셨나요?

클라우드는 더 이상 미래 기술이 아닌, 우리의 일상과 비즈니스에 깊숙이 자리 잡은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습니다.

반응형